차(차)와 술,과일,음식,특산물

인도네시아의 커피

콩지88 2018. 5. 4. 17:24




아시아 태평양과 서인도제도 지역을 대표하는 생산지로는 인도네시아와 자메이카가 있다.서양으로

커피가 전파가 되는데 가장 큰 가교 역할을 한 곳이 바로 인도네시아 입니다. 과거 아라비카종을 재배하였으나 현재는 로부스타종을 주로 재배하여 고급화된 상품으로 만들어 수출을 해 오고 있습니다.

수마트라섬에서는 아직까지 우수한 품종의 아라비카종 커피를 재배하는데 이 커피를 만댈링(Mandheling)이라고 부릅니다.   맛과 향의 조화가 잘 이루어져 동양의 대표 커피라고도 합니다.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Mandheling,JAVA, GAYO ,TORAJA 등의 커피를 사진으로 몇 장 올렸으니 참고로 하십시오



인도네시아 커피가 유명해진 역사를 살펴보면 커피 나무를 몰래 빼돌리는 데 성공한

네덜란드 상인들은

당시 식민지였던 인도네시아의 자바 섬에 커피 나무를 심어 재배에 성공하면서 자바섬에서 커피재배가 시작되었습니다.

이 때부터 커피의 양대 산맥은 예멘의 모카와 인도네시아의 자바가 되었는데

 대체로 인도네시아는 무기질이 풍부한 화산지형을 갖고 있어 커피재배에 이상적이었습니다,


그러나 1877년 커피 녹병으로 인도네시아의 전체 커피농장들이 초토화되면서 병충해에 강한 로부스타 커피로 품종을 바꾸어 재배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현재 인도네시아는 아시아 최대 커피 생산국의 대열에 끼어  유일하게 습식 가공으로 고품질의 로부스타 종을 경작하고 있습니다


 

습식가공은 물을 이용해 과육을 제거한 후 발효 및 건조하는 방법으로 상급 품질의 커피를 만드는데 단단하고 쓴맛을 가진 에스프레소 용으로 적합해 특히 유럽에서 인기가 높다고 합니다.


그 외에 인도네시아 커피로 잘 알려진 커피종류를 추가로 소개해 드립니다 

 모카 자바 브랜드로 유명한 자바, 셀레베스 토라자라는 브랜드로 유명한 술라웨시 등이 있습니다.


자바커피는 예멘의 모카와 혼합한 세계 최초의 블렌딩 커피인 모카 자바로 더욱 유명합니다.보통 풀 시티로 볶았을 때 꽃과 과일, 초콜릿의 느낌이 나는 풍부한 향과 부드러운 신맛, 중간 정도의 바디를 갖고 있습니다. 술라웨시를 대표하는 셀레베스 토라자 커피는 풍부한 아로마와 순한 신맛, 묵직한 바디감이 조화를 잘 이룬 커피로 일본과 유럽에서 인기가 높고, 아직 우리나라에는 널리 알려진 커피는 아니라고 합니다.

품종과 지역에 따라 거의 연중 수확이 가능하지만 가장 절정기는 3~6월이며 소량 생산되는

아라비카 커피는 세계적으로도 인정을 받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수마트라에서 생산되는 만델링은 남성적인 향미를 가진것으로 유명한 커피 입니다.묵직한 바디감과 독특한 향으로 핸드드립이나 블랜딩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아시아 태평양과 서인도제도 지역을 대표하는 생산지로는 인도네시아와 자메이카가 있습니다. 서양으로 커피가 전파가 되는데 가장 큰 가교역할을 한곳이 바로 인도네시아 입니다. 과거 아라비카종을 재배하였으나 현재는 로부스타종을 주로 재배하고 있습니다. 수마트라섬에서는 아직까지 우수한 품종의 아라비카종 커피를 재배하는데 이 커피를 만델링이라고 부릅니다. 맛과 향의 조화가 잘 이루어져 동양의 대표 커피라고도 합니다.

   

자바커피

 인도네시아 군도 중 가장 큰 섬 중 하나이자 가장 많이 커피를 생산해 내는 곳 입니다. 자바의 커피로는 구루메 아라비카 커피가 유명합니다. 아라비카 커피는 1500m 이상의 고도와 섭씨 16-20도의 온도에서 생산되기 적합합니다. 아라비카 작물은 병에 취약하며 자라는 동한 세심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자바는 또한 고대 자바 시절 세상에서 가장 오래되고 좋은 커피를 생산하는 곳 중 하나라고 알려져 있었습니다. 자바 커피 씨는 2년에서 3년정도 보관될 수 있고 이는 커피의 맛을 더 강하게 만들어 준다고 합니다

 

수마트라 커피

수마트라 커피 역시 인도네시아의  가장 유명한 커피중 하나 입니다. 수마트라 커피 중에서 유명한 커피는 시디칼랑, 린똥, 만델링 커피가 있습니다. 수마트라 커피는 무거운 맛이 납니다. 세상에서 가장 무겁고 복잡한 맛이나는 커피중 하나입니다. 일부 커피 전문가들은 향료 향과 흙향이 나기때문에 수마트라 커피는 특별한 맛이 난다고 말합니다. 부드러운 질감과 쏘는 맛이 납니다. 이 때문에 수마트라 커피는 가장 인기있는 커피 중 하나 입니다. 수마트라 커피는 2가지 방법(semi-washed, dry-processed)으로 가공될 수 있습니다. 최상의 품질 수마트라 커피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높은 고도와 이상적인 등고선에 경작해야 합니다.

[출처] 인도네시아 커피 종류가 뭐가 있을까?|작성자 오동이


술라웨시 커피

또 다른 주요 커피 생산 섬은 셀레베스라고 알려진 인도네시아의 술라웨시섬 입니다.

술라웨시 커피는 대부분 건조 방식으로 가공됩니다. 술라웨시 섬에서 가장 유명한 커피 재배지역은 또라자 입니다.

또라자는 술라웨시섬 중심부 해발 1500m의 산악지대에 위치하는 곳 입니다. 또라자 커피는 개인 소유의 농장에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재배 됩니다. 손수 커피 체리를 따고 분류하여 최상의 품질을 만들어 냅니다. 산악지형으로 인해 경사가 고르지 않고 커피나무 수확이 규칙적이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전통적인 재배와 수확 방식이 이용됩니다.

그래서 헥타르당 300kg 정도 수확할 수 있습니다.


아쩨 가요 커피

중부 아쩨의 가요 커피는 가장 많이 소비될 뿐만 아니라 해외로 수출되고 있는 커피 입니다. 가요 커피는 인도네시아의 다른 커피들과는 다른 독특한 향과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요 커피는 품질이 가장 우수한 아라비카 커피를 생산하고 있으며 맛은 쓰고 살짝 신 맛이 납니다. 또한 톡 쏘는 향 때문에 사랑받는 커피가 되었고 아쩨 가요 커피가 아시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커피가 된 것은 놀랄 일도 아닙니다. 쓴 맛이 나지만 한 모금 씩 넘길 때 마다 고소한 향을 느낄 수 있습니다.


낀따마니 커피

발리의 낀따마니 커피는 인도네시아의 다른 섬의 커피들보다 특별한 맛이 납니다. 왜냐하면 과일향과 신선한 느낌이 나기 때문입니다. 이런 맛을 가지게 된 이유는 낀따마니 커피는 사이짓기 방식으로 각종 채소와 감귤류와 함께 재배되기 때문입니다. 커피 콩이 오렌지 맛처럼 과일 맛이 나며 커피는 무겁지 않고 부드럽습니다. 이 독특한 맛은 지리적인 위치의 영향 때문입니다. 독특한 커피 맛을 좋아하시는 분들에게는 발리의 낀따마니 커피를 권해드립니다.


파푸아 와메나 커피

동부 인도네시아의 파푸아 와메나 커피는 고도 1500m, 섭씨 20도의 환경에서 자랍니다. 이러한 환경 덕분에 부드러운 맛이 나고  날카로운 향이 납니다. 파푸아 와메나 커피는 지형과 토양의 특성 때문에 신 맛이 적습니다. 커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화학물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품질이 상당히 좋습니다. 부드러운 커피 맛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걸쭉하지 않고 맛있게 톡 쏘는 파푸아 와메나 커피가 입에 맞을지도 모릅니다.


여하간 인도네시아 커피의 지역별 산지의 종류와 맛이나 재배 방식 등을 간략하게 이해하기 쉽게 정리를 하였으며, 내용 일부는 이곳에 가져오기도  했습니다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와 대양주에 걸쳐 있는 18천 여 개의 섬(지 중에 유인도는 6천 개 정도)으로 구성돤 섬 나라 로서 면적이 190만4,569km2 입니다(세계 15위).

인구는 2억6천 만 명 정도로 중국,인도,미국 다음으로 많습니다

역사적으로 1602년부터 1945년까지 네델란드의 지배를 받다가 독립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