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경( 北京 Beijing)

대만에서 먹는 중국 요리 (10)

콩지88 2021. 2. 21. 13:01

                  아스파라가스 모양의 鵝筍(아순)을 잎은 떼어내고 줄기만 삶아내서 접시에 담은 후 삶은 물을 아순 위에 뿌려놓았습니다  모양이 굽은 거위 머리 처럼 보여서 아순이란 이름을 썼습니다

 

말린 패주와 당근,무,차이신(菜心)으로 볼처럼 만들어 삼색으로함께 볶어낸 것 입니다

차이신(菜心 청강채와 비슷),꼬맹이 옥수수, 토마토와 차오꾸(草고)로 4색의 채소 요리를 만들었습니다

배추를 듬성듬성 썰어서 끓는 물에 5분 정도 익힌후에 건져내서 흐늘거리는 배추를 건져 먹습니다

버섯과 당근은 모양으로 넣었습니다

저는 이 지여우빠이차이(鷄油白菜)보다는 말린 작은 새우를 얹은 카이양빠이차이(開洋白菜)를 좋아합니다

흐늘흐늘하고 밋밋한 맛의 배추에 말린 새우가 간을 맞춰 줍니다

버터를 넣고 찐 배추요리 입니다.

버터 아래의 배추를 건져먹는 맛으로 먹습니다

지차이똥쉰(季菜冬筍)은 동순(冬筍 죽순)과 계채(季菜 채소의 일종)를 볶아 낸 요리 입니다

껍질을 벗기고 마름모꼴로 잘라 낸 수세미를 삶아내고, 나중에 돼지기름으로 볶아낸 것 입니다

白玉藏珍은 이름만으로는 속에 무엇을 감추어 놓았는지 모릅니다

대개는 말린 패주(貝柱)와 자른 닭고기 그리고 거위의 콩팥을 넣습니다

위시앙(魚香)으로 볶아 낸 가지 요리 입니다. 여기서는 썰어 놓은 돼지고기와 함께 볶았습니다(사천요리)

셰프의 취향에 따라 이렇게 국물이 많이 생길수도 있지만 티에빤치에즈(철판가지 鐵板茄子)처럼 국물 없이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사천요리에서 위시앙치엔즈(魚香茄子)와 이 쓰지떠우(四季豆)는 골목식당이든 큰 레스트랑이든 단골 메뉴입니다

醬燒筍(장소순 지앙사오쉰)도 사천 요리 입니다

간장에 볶어 낸 죽순에다 콩순(떠우미아오 豆苗)를 볶아내서 놓았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처음 맛 볼때부터 이 콩순인 차오떠우미아오(炒豆苗)에는 거부감 없이 잘들 먹습니다

 

 

오이스터 소스로 볶아낸 표고버섯,죽순 그리고 청강채 입니다. 광동요리 입니다

표고보섯과 양송이 볶음 그리고 청강채로 테두리를 장식했습니다 (광동요리)

양송이에 하얀 색이 보이는 것은 흰 우유를 부어 놓았기 때문 입니다

루어한쑤차이(라한소채)라는 광동요리 입니다

이 요리 역시 이름만으로는 내용이 무엇인지 알 수 없습니다

죽순, 麵筋(미엔진),冬고(동고), 腐竹(푸주, 부죽은 국수처럼 말린 두부의 일종 입니다) 그리고 청강채와 함께 볶아낸 요리 입니다

海棠百花고(해당백화고)이며, 광동요리 입니다

표고버섯 안에다 돼지고기 다진 것을 채우고 위에는 말린 작은 새우를 부수어서 카페트처럼 올려 놓았고, 옆으로는 지에란차이(芥蘭菜)를 삶아서 둘러 놓았습니다

수세미 요리이며, 호남성요리(湘채) 입니다

사진처럼 날씬한 수세미를 잘라 가운데 빈 자리에는 떡갈비처럼 빚은 고기를 꽉 채우고 양면을 지진 것 입니다

맛은 수세미의 삽쌀한 기운을 돼지고기가 지워줍니다

우리나라의 쇠고기를 넣은 고추전과 비슷한데 다만 여기서는 쇠고기 대신에 새우를 다져서 속을 채웠습니다

광동요리 입니다

 

1) 몇 군데에 오타가 있는 곳을 수정하려고 해도 수정이 안되어 그대로 올렸으니 양지 바랍니다

2) 동고의 "고"는 버섯 "고"인데 사진에 "고"의 글자가 있으며, 제 컴의 한자 리스트에는 들어 있지 않습니다

3) 사진에 있는 요리에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을 달아주려니 다음 넷이 이래저래 속을 많이 썩여서 시간이 오래 네 요 ㅠ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