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동성, 심천(Shenzhen)

광동성 산터우(汕頭)의 뽀짜이판(㷛仔飯 )

콩지88 2020. 3. 2. 16:39



여러 개의 뽀짜이판을 짓고 있습니다

이 그릇은 도자기 비슷하지만 중국에선 沙鍋(사과 사꿔) 라고 합니다. 한약을 다릴 때는 반드시 이런 사꿔를 사용합니다


홍콩의 거리 음식중에 뽀짜이판(㷛仔飯 광동식발음)이란 것이 있습니다.
광동성 산터우(汕頭) 길거리 가게에서 서민들이 즐겨 사서 먹는 일종의 돌솥밥인데  밥 위에다 시앙창(香腸, 중국식 소시지),채소류,계란 등 여러가지를 토핑으로 사용합니다. 홍콩사람들이 나름대로 광동의 전통식에서 약간의 면화를 주어서 만들어 팔고 있습니다
                        


                    

고기류가 가득 보입니다                   

홍콩은 퓨전 요리의 천국이기도 합니다 ~


산터우의 음식
일반적으로는 조주식(潮菜 조채 조주요리)과 비슷합니다(산터우시는 차오저우(潮州)시의 남쪽 가까이에 위치).
레스트랑에서 주문해서 먹는 것 외에 길에서 오다가다 먹을 수 있는 산터우의 빠오짜이판(煲籽飯 보자반)을 소개 하고 있습니다


산터우는 중국이 4개 현대화 추진의 하나로 제일 먼저  만든 4개의 경제특구 중 하나입니다(산터우,선전,시아먼,주하이).  경제특구는 외국인 투자기업에 대하여 상당한 우대조치를 해 주었지만 오늘날에 와서는 일반 도시들의 공업단지에 투자하는 경우와 거의 비슷합니다.  따라서 다른 경제특구에 비하여 운송이나 교통 편리 등의 면에서 불리한 여건이어서 산터우의 경제특구는 활기를 잃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뽀짜이판 한 그릇에 인민페 20원
인민페 20원 정도라면 서민들의 식사 한 끼 값이지만 일반 샐러리 맨들은 지방 도시의 경우엔 10원 정도로도 만족합니다
우리는 해외 여행할 때 과일이나 밥 값을 절대치로만 비교하고 싸다는 말을 많이들 하는데, 제대로 비교하려면 그들의 월 소득을 알아야 합니다. 소위 가처분 소득을 이들이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여 하는 것이지요
제가 북경 근무를 마치고 귀국하던 1997년 하반기 이후 10년 후 다시 가서 본 북경의 물가는 제 상상을 훨씬 넘을만큼 열 배 이상이나 올라 있었습니다
옛날엔 식당 종업원의 월급은 인민폐 400원 내외였는데 2000년 중반에 와서는 3000원 주고도 합당한 종업원을 구하기 어렵다는  북경의 동네 식당 주인 아줌미의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이 미끄라지처럼 보이는 것은 鱓魚(선어 산위)인데  중국의 남쪽 지방이나 대만에서 즐겨 먹는 두렁허리라는 생선 입니다.




음식을 가리지 읺는 분이라면 한 끼 드셔보기를 권합니다
다만, 홍콩이든 광동성 어디든 음식점은 무척이나 많지만 막상 내가 먹고 싶은 음식이 바로 눈에 띄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미리 알고 여행하시기 바랍니다



산터우의 중국어 방언은 광동어와도 큰 차이가 나는 차오산(潮汕)이라는 조주(潮州)와 산두(汕頭)의 합성어인데 이들은 타에쥬(taejiu)라고 부르며, 태국에 사는 화교들이 이 방언을 사용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