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여행정보

대만의 종이우산 얘술의 맥 이어가기

콩지88 2014. 6. 14. 09:10

 

 

대만도 1960년대 중반기 까지는 경제개발과 수출산업육성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었습니다

풍부한 노동력과 저렴한 임금, 그리고 높은 생산성 등을 내세워서 외국인투자유치에 총력을 기울였습니다

섬유제품,전자제품(주로 가전제품과 부품 위주),신발,석유 관련제품,자전거,양산,안경 등수출이 될만한 상품은 모든 분야에서 이것 저것 따지지도 않고 가리지도 않고  가족 중심의 소기업들이 무수히 탄생했습니다. 이것은 오늘날 대만이 아시아의 중소기업왕국이라는 영광을 얻게 되는 배경의 하나 입니다

 

전통 수공예품산업은 대만의 경우에도 노동집약적이면서 임금이 저렴하고 열학한 작업환경에서도 명맥을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습니다

오늘은 대만 전통 수공예품의 하나인 종이우산 만드는 작업광경을  EBS 테마기행의 영상을 이용해서 소개해 드립니다

 

 

 

종이 으신ㅇ[ 그림 그려넣기 작업을 하는 소녀 같은 여성 작업자들입니다

동남아의 여인들은 나이에 비해 얼굴이 무척 애띄어 보입니다

 

 

메이롱(美濃)이란 하카족(客家人)듸 문화 보존 지역에 종이우산 작업장이 있나 봅니다

 

 

 

수작업으로 완성된 종이 우산 입니다

 

 

그림에는 산수화 충역,화조 등이 주요 주제가 됩니다

 

 

대나무의 틀에다가 종이를 풀칠하여 입히는 작업입니다

 

 

 

살과 살을 실로 이어주는 작업도 손으로 하나 하나 합니다

 

 

기본적인 종이 우산이 완성 되었습니다

이런 작업은 우리나라의 종이 우산 만들기와 별 다를 바가 없습니다

 

 

우산의 대나무 긴 살과 짧은 살이 서로 이어지니 사람 인(인)"자 모양이라고 사장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카족(客家族,중국 본토에선 객가인으로 소수민족을 분류함)에 대한 간단한 설명힙니다

객가인들은 북쪽에서부터 외침을 피해 남으로 남으로 피난살이 생활을 하다가 지금은 복건성,대만 등지에서 안착하여 살고 있습니다

따라서 객가인들은 상호 이웃간에 단결력도 강하고 생활력도 강한 편입니다

 

 

하카족들은 이웃들끼리 모여 살다보니 하카족 마을을 만들어 살고 있습니다

 

 

수 많은 사람(人)이 우산 속에 있듯이 하카족들이 모여서 사는 데에 대하여 설명을 하고 있는 사장 입니다

 

 

종이 우산을 펼치면서 원을 그리는 모양을 보고 사람들과의 관계가 원만하다는 것을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사장은 우산의 품격을 높이려고 직접 좋은 글을 붓으로 쓰고 있습니다

 

 

 

 

전통문화의 삽에 대해서 선()을 가지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대만은 우리나라와 함께 아시아의 네 마리 작은 용으로 불리우면서 선두에서 경제발전을 해 온 모범적인 나라였습니다

1953년부터 대만경제개발4개년계획을 실시하면서 대만의 수출산업은 우리나라보다도 앞서 나가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우리나라는 대만경제발전과 수출지향적인 산업구조를 연구하면서 여러 분야에 걸쳐서  좋은 점들을 도입하기도 했습니다

박정희대통령은 우리나라 수출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 매 달 수출진흥확대회의를 주재하면서 대만의 수출산업지원정책을 보고 받으시면서  많이 참고로 했습니다

 

매 년 정부 각료급경제회의가 서울과 타이뻬이에서 윤번으로 개최되었으며 정부간 회의에 앞 서 민간경제협력회의가 한 달 전 쯤에 먼저 개최되어 경제 무역 실무 현안사항들을 검토하고 양국 정부에 건의사항도 만들어 보고 하곤 했습니다

모든 산업분야의 협력관계가 매우 활발했던 지난 날들이 생생하게 지금도 생각이 납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