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뉴질랜드에 도착한 백인 선교사들은 마오리 족의 전통, 관습, 문화를 상호 이해하고 인정하면서 뉴질랜드에 포도나무의 재배와 와인 재배가 성공할 수 있었습니다
마오리 족의 인사법으로 서로 이마를 대고 코를 부비고 있습니다
뉴질랜드의 와인 제조는 1972~73년에 생산을 위한 토지,인력,생산 및 저장 설비 등을 갖추고 본 궤도에 진입하게 되었다고 설명을 합니다
1873년 부터 포도 재배가 본격적으로 시작 되었습니다
뉴질랜드 산 사과는 칠레산 사과와 함께 1980년대에 대만 시장을 개척하기 시작 했습니다
당시 대만에서는 리산(梨山, 대만의 중부)애서 사과와 배를 시험 재배 생산하고 있었고 한국 사과와 배는 대만 시장을 독점하고 있던 시절 입니다
칠레나 뉴질랜드는 운송면에서 우리나라와 비교하면 매우 불리한 입장이었지만 가격면에서 경쟁력를 가지고 있어서 일부 반대론자들이 있었지만 대만은 농산물 수입 개방을 했습니다
수입 개방을 거부하면 일시적으로는 농민이나 관련 유통업자들이 타격을 입겠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소비자에게 값싸게 품질이 다른 것을 선택할 수 있는 좋은 점도 있는 것 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농산물수입개방을 추진할 때 상당한 반대에 부딛혔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농산물 수입개방을 한 지금은 어떻습니까?
마오리 족들에겐 그들만이 전통적으로 이어오고 있던 신과의 소통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단순히 샤머니증은 미신이란 관념으로민 보면 현지 토후들과의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마오리 족들이 뉴질랜드 민속공연에서 단체로 혀를 입 밖으로 길게 내미는 행동은 TV에서도 많이 소개되기도 했습니다
양장으로 차려 입은 여성이지만 마오리 족의 전통문화 선도에 앞장 서고 있는 한 사람 입니다
우리나라 사찰에 가면 꼭 삼성각(三聖閣)을 지어 놓고 산신령들을 모시고 있습니다. 무당들은 신의 내림 굿을 받고나서야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종교에서는 유일신만을 주장하면서 남의 것은 사탄으로 몰아붙이거나 이단자들로 몰아세우기도 합니다. 그러나 어떤 종교든 기본은 "사랑"임에도 불구하고 ~
공자의 "인(仁)" 역시 "사랑" 입니다. 仁은 "어질 인"이라고만 배운 사람은 이해가 안될지 모르겠지만, 사람이 둘이면 서로 사랑을 하라는 뜻이 깊이 담겨 있는 "사랑 인"이란 글자 입니다.
앞으론 뉴질랜드 상품의 로고나 라벨 등에도 단순 상표 도안이란 개념이 아니라 문화적 관심을 가지고 봐야 하겠습니다
뉴질랜드의 와이너리 역사 배경과 원주민 마오리 족 문화 이해등 광법위한 소개를 했습니다 ~
'와이너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의 와이너리 중국 煙臺 편 2~1 (0) | 2019.06.17 |
---|---|
세계의 와이너리 뉴질란드 편 3~3 (0) | 2019.06.16 |
세계의 와이너리 뉴질란드 편 3~1 (0) | 2019.06.15 |
세계의 와이너리 이태리 편 (0) | 2019.06.14 |
세계의 와이너리 프랑스 편 3 ~3 (0) | 2019.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