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최대의 박람회장을 둘러 봅니다
구세주 대성당과 멀지 않은 곳에 러시아 최대의 박람회장이 있습니다
중국 북경의 장성대반점(셰라톤 호텔) 가까이에 이 모양과 비슷한 농업전람관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구로공단을 조성하는 것을 내다 보면서 제1회 산업박람회를 개최하였는데 지금은 그 공단에 입주했던 많은 수출업체들과 외자기업들이 구로디지탈단지와 가산디지탈단지로 옮아가서 새로운 모습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1988년 서울 삼성동에 무역센터와 COEX 국제전시장을 지었으며, 서울국제박람회(SITRA)를 몇 년 동안 계속 개최하면서 우리나라 기업들의 세계화에 기여를 하였습니다
해외 무역 촉진을 위해 고양시에 국제전시장을 훨씬 큰 부지에다 지었고, 지방에도 부산과 대구에 국제전시장을 지어서 지방 산업발전에 기여해 오고 있습니다
건물 정면에는 레닌 동상이 세워져 있습니다
중국인들을 우리는 행동이 무척 느리다는 만만디(慢慢的 ) 사람들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지만 저는 이해관계 판단이 무척 빨라서 하는중국인들의 평소 행동을 보면 우리나라 사람들 보다 겉으로는 느려 보여도 실속 차리는 데는 훨씬 빠른 사람들이라고 생각 합니다
다만 우리는 불필요한 때에도 "빨리빨리"를 입에다 줄 곧 올리지만 중국인들은 평소에는 조용히 있다가 판단이 서면 바로 움직이는 실리형이라고 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행동 이전에 항상 주변 눈치를 살피다가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은 것이 약점이기도 합니다 치열한 국제경쟁에서는 시간 맞추는 것이 매우 중요 합니다
전 러시아 박람회장 맞은 편에는 높이 170m의 거대한 러시아의 유리 가가린과 우주 정복자들을 위한 기념비가 1964년에 세워져 있습니다.
미국이 러시아의 한 발 앞서가는 우주산업발전에 쇼크를 받고 1968년 말 암스트롱을 태운 우주선이 달나라에 최초의 발자국을 남기고 돌아왔는데, 저는 이 달 착륙 실황중계를 타이뻬이에서 칼러 방송을 처음 보면서 역사적인 중계를 봤습니다
1968년은 대만이 칼러TV 방영을 시작한 해인데, 우리나라는 1970년대 초에 와서 본격적으로 방영을 하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칼러 TV 방영을 앞두고 주요 일간지들의 당시 반대 의견 논조를 보면 그저 쓴 웃음이 지금도 납니다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 시기적으로 빠르다, 즉 흑백TV도 보급이 안 된 가정도 많은데 칼러TV 방영은 도시외 시골 간의 위화감을 부추긴다
- 흑백TV와 칼러TV의 칼러 의상 준비와 장치 제작비 차이가 커서 몇 베나 비용이 많이 든다
- 흑백TV 보다 칼러TV의 전기 소모량이 커서 산업 전기량 부족을 부추긴다
- 생산 원가에서도 큰 차이가 나서 물가상승 요인이 크다 등등
이 때 저는 타이뻬이에 주재하면서 대만 전자공업이 우리나라 보다 발 빠른 발전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면서 아래와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 단순 기술의 흑백 TV 수출은 곧 사양화 될 것이므로 고기술집약의 칼러 TV 국내 방영을 함으로써 칼러 TV 국산화 생산체게로 시급히 전환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당시 국내 방영도 하지 않으면서 칼러TV를 조립 생산하고 수출하고 있다
- 칼러TV의 생산은 당시엔 고기술 집약산업이었음으로 이에 따른 부품업계에 미치는 기술향상과 새로운 일자리 창출 등 파급효과가 위의 부정적 영향보다 훨씬 큰 이득이 있다
-흑백 화면에서 보았던 세상을 칼러로 바꾸어 보면서 후져도 함찬 후진 우리의 고정된 사고를 변환시킬 수 있다 등등
(이 이야기는 1971년12월 타이뻬이에서 개최된 한중(여기선 대만을 지칭)경제각료회담 참석을 하고 있던 이한빈 경제부총리께 제가 리셉션 장소에서 다소 항의조의 건의였고, 이 총리께서도 이 점을 이미 잘 알고 있었다면서 우리도 내년에는 칼러TV방영을 곧 하게된다고 저를 위로 했습니다. 이 때 옆에 있던 수행 기자가 이 말을 술쩍 엿듣고는 그대로 본사에 보내 타이빼이발 경제 특종을 잡은 일이 생각나는데, 이 총리께서는 그 해 12월에 우리나라 최초의 칼러 방영을 좀 더 앞 당겨 실시하도록 조치하였습니다 ~)
치올콥스키의 명언 입니다
러시아의 모스코바를 동방정교 성당과 박람회장 그리고 우주산업 기념탑 등을 둘러 보면서 산업발전의 뒷 이야기도 좀 올렸습니다
1979년 중국은 4개 현대화를 추진하면서 중국식 사회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자본주의 경제를 개발하였습니다
러시아는 고르바초프가 개방을 추진하어 지금과 같은 발전에 이르렀고, 베트남은 도이모리(개방정책)을 통하여 경제의 급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당시 우리나라 노태우 정부는 북방정책을 표방하면서 과거의 공산권 국가들과 헝가리를 위시하여 러시아,동구권 국가 그리고 중국과도 수교를 하였습니다
이제 개방이란 바람이 북한에도 크게 불어서 남북 평화공존의 시대가 하루 빨리 열리기를 고대 합니다
'러시아,모스코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의 봉제 인형, 악기를 가지고 즐기는 노인 (0) | 2018.10.16 |
---|---|
러시아의 도자기 찻잔들 (0) | 2018.10.16 |
모스코바의 동방 정교 성당 둘러보기 (0) | 2018.10.13 |
러시아 유명인사들의 묘지 공원,최대의 동방정교 성당 (0) | 2018.10.10 |
모스코바의 국립역사박물관,묽은 광장 (0) | 2018.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