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고족(위구족裕固族)은 전체 인구가 11천 명 정도로 적은 숫자인데, 감숙성의 장액시와 주천시 사이에 있는 숙남유고족자치현(肅南裕固族自治縣)과 주천시 주변에서 군락을 이루고 살아오고 있습니다
여성들의 전통 복장을 보니 알록달록 매우 현란한 색깔을 즐겨 사용하고 있었고, 고깔 모자를 쓰기도 합니다
유고족들은 티벹족,몽골족, 위그르족들과 문자나 언어에 있어서 함께 사용하기도 합니다
한 때는 독립된 왕국이기도 하였으나 청나라 때 중국에 소수민족의 하나로 편입 되었습니다
티벹 라마 불교는 유고족들의 생활에도 깊숙히 자리 잡고 있습니다
유고족들이 사는 자치현의 한 마을 입니다
거리의 시장은 다른 지방 거리 시장과 별 차이가 없습니다
소수민족이라고 해서 관광객을 위해 일부러 전통 옷을 입지만은 않습니다
평상복을 입으면 말을 해보지 않으면 우리로선 얼른 유고족으로 알아보기가 어렵습니다
치즈 입니다
펀티아오(분조) 즉 당면입니다. 당면도 이렇게 넓은(관) 것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먹는 가는 국수같은 당면도 먹고 있습니다
(한자 전환이 안되고 있어서 그냥 한글로만 표기했습니다)
유고족의 전통 복장을 입은 할머니들 입니다
외지에서 손님이 찾아 오면 우선 술부터 권합니다
유고족들도 척박한 고비의 사막지대에서 유목 생활을 합니다
겨울엔 마을로 돌아와서 추위를 이겨내고 봄이 되면 다시 초원지대로 양들을 몰고 나갑니다
소유차를 만들기 전의 청과분과 버터의 모양 입니다
소유차를 마시는 것은 운남성, 사천성, 티벹, 감숙성, 몽골 등의 소수민족들이 항상 마시는 차 입니다
유고족 여인들이 전통 무용을 보여주려고 전통 옷으로 갈아 입고 있습니다
이런 치파오 모양과 색갈의 옷은 티벹 여인들도 즐겨 입는데, 유고족 여인들도 비슷한 전통을 공유하고 있는가 봅니다
여러 집에서 양을 함께 초원에다가 방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양의 몸에다가 서로 자기네 양임을 표시해 놓고 구분 합니다
정장의 전통 복식을 차려 입은 유고족 여인 입니다
'실크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숙성 돈황의 야시장(사주야시(沙州夜市) (0) | 2015.12.13 |
---|---|
감숙성 천수 맥적산석굴 (0) | 2015.12.12 |
주천(酒泉 지우취안)과 한사군, 야광배 (0) | 2015.12.09 |
감숙성 장액국가지질공원 칠채산(張掖 七彩山) (0) | 2015.12.09 |
감숙성 장액(張掖),대불사(大佛寺)와 마제사(馬蹄寺) (0) | 2015.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