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차(茶)에 대하여 (1)
중국의 명차 중 하나인 복건성 무이산의 무이암차(武夷岩茶)입니다
복건성 안계(安溪)의 철관음은 국내외적으로 인기가 많은 명차입니다
왼쪽은 대만의 철관음이고
오른쪽은 중국 본토에서 훈련된 원숭이를 시켜서 채취한 차엽(茶葉)으로 만든 철관음 차입니다
왼쪽은 벽라춘록차, 가운데는 황산모첨차이고 오른쪽은 평범한 녹차입니다
이 황산모첨차는 명차의 이름을 가졌지만 내용물은 보통수준의 것입니다
대만 10대 명차의 하나인 문산포종차(文山包種茶)입니다
차품평회에서 포종차 중 특등을 획득한 고급차입니다
가운데는 상품인 문산 포종차이고 양 옆은 대만 10대 명차의 하나인 동정오룡차(凍頂烏龍茶) 입니다
복건성 안계의 철관음차입니다
운남성의 보이차입니다
왼쪽은 포장 통이 돌을 깎아서 만든 특이한 것입니다. 내용물은 원추형으로 한 알 한 알 종이 포장이 되어 있습니다
오른 쪽 보이차는 묵은 차의 표시로 진년노차(陳年老茶)란 네 글자를 써 놓았습니다
운남성 보이차전(普이茶磚) 입니다
모양이 네모의 벽돌이어서 벽돌 전(磚)자를 쓰고 있습니다
이 보이차전은 제가 2006년8월에 운남성의 곤명에서 구입한 것입니다
살 때 보다 발효가 많이 진행되었습니다
보이차의 일종인 운남칠자병차(雲南七子餠茶)입니다
포장이 잘 된 칠자병차의 모양입니다
중국차의 구분
중국차를 몇 가지로 나누어서 구분해 보았습니다
♦ 차(茶)나무의 구분
교목형(喬木形) : 나무의 키가 크며, 줄기가 분명하고 잎도 크다.(홍차,발효차 등)
灌木形 : 나무 키가 작고 줄기가 분명하지 않고 잎도 작다 ( 녹차 등)
반교목형(半喬木形) : 교목과 관목 형의 중간 형이다 (우롱차)
♦ 차(茶) 잎에 따른 구분
대엽종(大葉種) : 잎의 길이가 13~15cm, 폭이 5~7cm이며 모양은 타원형이고 사천성과 운남성에 많이 분포
소엽종(小葉種) : 잎의 길이가 4~5cm로서 추위에 비교적 잘 견디므로 중국의 동남부와 한국,일본,대만에 많이 분포
야생종 : 중국과 인도의 아셈,메니푸 등에 분포, 나무는 10~20m 크기로 자람(혹은 20m 이상으로 크게도 자람)
♦ 차(茶)의 색깔에 따른 구분
녹차(綠茶) : 용정차(龍井茶) 등
흑차(黑茶) 기문홍차(기문紅茶) 등
청차(靑茶) : 오룡차(烏龍茶,우룽차) 등
백차(白茶) : 백목단(白牧丹) 등
황차(黃茶) : 군산은침(君山銀針),황산모첨,(黃山毛尖) 등
위의 차에서 카페인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은 홍차이고, 백차가 가장 적습니다 오룡차의 카페인 함량은 홍차 다음이므로 카페인에 민감한 분이라면 오후부터는 홍차나 오룡차를 마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제 경우는 오후에 홍차나 오룡차를 짙게 마시면 잠을 설칩니다. 서양인들이 홍차를 마실 때 우유를 첨가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점은 참고가 되기 바랍니다. 대만이나 중국 남부를 여행하다 보면 아이스 밀크티를 큰 유리 컵에 가득 타서 마시는 젊은 이들을 만나게 됩니다만 이들은 이미 카페인 마시기에 습관이 되어 있는 것이고 저는 아니여서인 모양입니다 ㅎㅎㅎ
티벹인이나 몽골인,납서족(納西族 나시족)의 마사인(摩梭人,모소런)들이 차를 말 젖이나 양 젖(중국의 유일한 모계 소수민족인 마사인들은 소유차(酥油茶)라고 부름)과 함께 넣어 끓여 마시는 것도 일리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 茶의 종류
중국의 차 종류에는 홍차, 녹차, 오룡차, 백차, 화차, 긴압차 등 6대 종류가 있으며 살을 빼는 감비차(減肥茶)도 있습니다. 이중 모리화(茉莉花)차로 알려진 화차는 북방에서 많이 즐기며 꽃을 말려 제조하여 향긋한 냄새가 일품입니다.
♦ 차의 효능
차는 살균, 해독, 병 치료의 기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중추신경을 흥분시켜 주는 역할도 한다. 무더운 여름날에 차를 계속 마셔 갈증을 풀기도 합니다. 여름에 더운 차로 갈증을 가실 수 있다는 것은 현대의 과학 실험에 의해서도 증명하고 있습니다.
소화와 배뇨기능을 활성화 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중국의 물(석회질이 많음)이 좋지 않은 관계로 물속의 불순물이나 독성을 제거하는 역할도 합니다.
특히 기름기 많은 중국음식을 먹고 난 후 차를 마시면 기름기 제거에 도움을 줍니다. 비만의 사람들을 위해서 만들었다는 감비차(減肥茶)는 현대 상술이 돈벌기 위해 개발한 차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배뇨작용을 돕는 효능이 아주 탁월하니 만약 장거리 여행시에는 가급적 차를 적게 마시는 것이 다음 휴계소까지 가는데 걱정을 다소나마 덜 수 있으니 평소 화장실에 자주 가는 분들은 꼭 참고로 하십시오 ㅋㅋㅋ
중국여행시 반드시 한 번은 들리게 되는 차박사(茶博士)나 차장(茶莊)이란 간판이 붙은 차(茶) 가게에 들어가면 차를 홍보하고 판매하는 소저(小姐,샤오졔, 아가씨)둘아 차(茶)가 누구에게나 잘 맞고 좋은 것처럼 이야기를 하지만 위장이 약한 분은 의사들이 차 마시기를 피하라고 권고하니 반드시 본인이 차 마시기에 조심해야 할 사항입니다.
제 경험으로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아침 공복에 차 마시는 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하니 이 점도 참고하기 바랍니다
♦ 차 마시는 법
먼저 적당량의 차를 개완(蓋碗, 뚜껑이 달린 찻잔의 일종)에 넣고 뜨거운 물을 가득 부운 다음 뚜껑을 닫고(향기가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함) 찻잎이 가라앉을 때까지 기다린 다음 마십니다. 차는 향기와 맛을 동시에 즐기는 음료이며, 마시면서 차 맛이 거의 다 우러나올 때까지 계속 뜨거운 물을 첨가하여 마십니다. 중국인은 가득 채워서 (滿이라는 것을 좋아하여) 손님 접대시 차잔이 다 비워지기 전에 언제나 계속 뜨거운 물을 채워줍니다.
일반적으로 도자기의 찻잔을 차배(茶杯)라고 하며, 뚜껑이 달린 잔을 개완(蓋碗)이라고 하고, 키가 좀 큰 도자기 컵은 차배(茶杯, 차뻬이)라고 부릅니다
♦ 다양한 중국차(中國茶)
우리가 생각하기에 돼지고기,양고기,닭고기 등 기름진 육류를 식용유로 볶고,튀기고, 지지고 하면서 요리해서 즐겨 먹는 중국인들임에도 비만인이 드문 것은 차를 즐겨 마시기 때문이라고도 말들을 합니다.
이것은 차(茶)의 효능에 의한 것도 약간의 작용은 한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그러나 중국인은 정상적인 식사를 할 때 생선과 채소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 골고루 먹으면서 살아왔음을 간과하고 하는 말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중국요리의 엄청나게 많은 메뉴를 잘 알지 못하여 생선류나 채소류는 제대로 주문을 하지 못하므로서 야기된 잘 못 이해한 때문이라고 봅니다.
중국요리에도 얼마든지 담백한 것이 많습니다. 다만 우리나라처럼 채소를 끓는 물에 데치거나 삶아서 양념에 무치는 요리는 드물 뿐입니다. 우리나라의 화상(華商)들이 경영하는 중국음식점들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입맛에 맞추어 개발한 그들의 레시피가 한정되어 있음에도 중국인들은 차 때문에 비만의 사람이 적다고 오해를 안겨 준 요인이 되겠습니다.
중국의 차 종류는 수천 가지가 넘습니다. 그러다 보니 차에 대한 명칭도 다양합니다. 차의 이름은 차를 채취하는 시기나 방법, 색깔, 형태, 지명 등에 따라 각각 달라집니다.
경칩 전에 채취하는 차는 사전차, 곡우 전에는 우전차 , 청명 전에 채취하는 것은 명전차입니다
홍차, 녹차, 백차는 색깔로 구분한 이름입니다.
차의 형태에 따라서 작설차(雀舌茶, 뾰족한 모양이 참새의 혀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와 말차(抹茶, 차의 어린 순을 따서 차를 가공할 때 손으로 부벼 줌) 로 구분도 합니다,
발효 정도에 따라서는 차를 발효시키지 않은 불발효, 반 정도 발효한 반발효, 완전발효로 구분하며 불 발효차로는 녹차가 대표적이며 전차(磚茶), 녹차, 용정차(龍井茶)가 있습니다. 반 발효는 우룡차(烏龍茶)가 대표적이며, 포종차, 철관음차, 모리화차(茉莉花茶, 자스민차,香片), 천로차, 오룡차, 푸얼차(보이차) 등이 있습니다. 완전발효 차로는 홍차가 가장 대표적입니다.
차의 맛은 토질과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차의 이름에 지명을 붙여주는 것도 많습니다.
예를 들면 절강성 용정녹차, 안휘성의 안계철관음,황산모첨차, 복건성 무이(산)암차,동정호의 군산은침차, 기(祁)홍차, 운남성 보이차(普洱茶 푸얼차).
대만의 문산포종차,동정(凍頂)오룡차,목책(木柵)철관음차,일월담 홍차, 리산(梨山)이나 아리산(阿里山)의 이름을 붙인 고산차(高山茶)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