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술과 음식

영하회족(寧夏回族))자치구 사막지대의 와아너리

콩지88 2020. 2. 15. 17:51


중국엔 다섯 개의 자치구가 있는데 寧夏(영하 닝시아) 회족(回族)을 비롯하여 내몽고자치구(몽골족), 티벹자치구(티벹족) 신강위그르자치구(위그르족) 그리고 광서장족(廣西庄族)자치구인데 모두 그 지역의 인구가 많은 소수 민족의 대표가 자치구의 수장인 주석(主席) 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치구의 수장인 주석은 성(省)의 성장(省長)과 같은 급수 입니다


이 닝시아는 중국 서북쪽에 위치하면서 사막 등 척박한 지리환경이지만 이 곳에 굴지의 와이너리를 만들겠다는 꿈을 가지고 상당한 노력과 투자를 해오고 있는 사람이 있습니다 




척박한 땅을 몇 년 동안 부지런히 개간하여 푸른 포도 밭을 일구어 놓았습니다

닝시아(영하)의 땅이 상전벽해(桑田碧海0가 되었습니다



좋은 품종들을 다양하게 심어서 품질이 우수한 포도를 시험적으로 수확하고 있습니다

이 와이너리의 회장은 데학을 졸업하고 큰 도시로 나가서 이미 직장생활을 하고 있던 딸을 불러서 앞으로의 계획을 말하면서 딸을 프랑스로 유학을 가서 포도재배기술과  포도주 생산에 관한 신 지식을 배워오도록 했습니다

그 딸은 몇 년 뒤 귀국후 열심히 포도 품종에 따른 중국 닝시아 땅에서의 수확 결과를 연구 검토하면서 지금은 이 와이너리의 총경리(總經理 사장에 해당)직을 맡고 있습니다




포도를 수확하기 전에 수확 때의 주의 사항을 감독관으로부터 듣습니다

벡포도주는 해가 뜨기 전에 어둠 속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머리엔 랜턴을 착용하고 있습니다


 

급여는 수확한 포도의 개 수에 따라 지급한다고 말을 합니다

작업이 끝나면 포도의 무게도 달고 수확량과  속도도 평가한다고 했습니다

포도를 개 수에 따라 돈으로 환산한다는 것은 우리에겐 생소한 이야기 입니다


중국은 공산화 초기부터 이런 식의 생산 방식을 택하여 왔기 때문에 작업자들은 별다른 뷸평없이 이런 작업조건을 그대로 받아들입니다. 

신강지역이나 감숙성 등지에 있는 목화 밭들은 수확철이 되면 근로자들이 목화밭에서 해질무렵까지 열심히 목화 송이를 땁니다. 그들이 수확한 목화 송이들은 개 수를 세어서 바로 돈으로 환산합니다 ~


수확한 목화의 개 수에 따라서 돈으로 환산해주기 때문에 작업자들은 열심히 한 눈 팔지않고 일을 하게 됩니다 ~

능력에 따른 공평한 잣대로 배분을 한다고 할지 모르지만 이런 방식은 능력에 관계없이 함께 일을 한 후 다 같이 한 솥에서 밥을 같이 먹는데 먹을 때는 먹고 싶은대로 맘대로 퍼 먹는다는 철밥통(鐵碗飯 티에완판) 인민공사(人民公社) 방식과는 달리 근로자들을 착취 또는 혹사하는 방법의 하나이기도 합니다

 


등소평은 중국의 개혁개방을 추진하면서 시범적으로 1980년대 초에 사천성의 인민공사를 폐지시켰습니다, 그리고는 전국의 인민공사를 전부 폐지했습니다



해가 뜨기 전이어서 작업장인 포도밭은 주위가 캄캄합니다



개 수로 평가를 하지만 포도가 상한 것은 계산에서 제외 됩니다



헤 뜨기 전에 새벽 작업을 하는 이유는 백포도주는 해가 떠서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나중에 와이너리에서 만들어지는 백포도주의 맛이 최상급이 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밤에는 온도가 내려가서 포도의 향이 잘 유지되기 때문이고, 해가 떠서 온도가 올라가면 포도의 산화 속도가 빨리 이루어지기때문이라고 했습니다



화이트와인은 맛에서 사용한 원료인 포도의 신선함이 느껴진다고 합니다





포도 밭 옆에는 돌로 쌓은 봉화대 같은 구조물이 있는데, 외아너리 회장은 틈이 날 때마다 이곳에 올라가서 포도밭을 내려다 보면서  미래의 구상을 실천해서 세계적인 와이너리를 만들고야  말껬다는 꿈을 꼭 달성하겠다고 다짐하곤 한다고 했습니다



이 와이너리 회장은 매 년 국제와이너리문화예술제를 개최하면서 홍보 효과도 올리고 있습니다



참가한 젊은 여성들은 중국포도주천사 선발대회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여성들의 어깨 띠에는 中國葡萄酒天使大賽라고 쓰여 있습니다



적포도주 입니다. 중국인들은 홍주(紅酒)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 축제에  참가한 하객들이 모두 와인 잔을 들고 건배를 하고 있습니다



회장은 붓을 들고 마음을 다짐하는 글을 쓰곤 합니다 ~


중국은 원래 농업국가로서 역사적으로 오랜 농사의 경험을 가지고 열심히 밭 농작물을 생산해 왔습니다

1950년대 초반까지도 중국의 농업생산산성은 세계에서 으뜸의 자리에 있었지만 선직국들의 농업기계화와 비료등의 과학적 관리 방법으로 생산성을 크게 높이면서 중국의 농업생산성 선두 위치는 뒤로 밀리기 시작 했습니다


제가 북경에서 옌타이의 장유(長裕)포도주나 장성(長城)포도주를 맛 보면서 상당히 높은 품질이라고 평가를 했었는데, 이제 닝시아의 포도주는 과연 어떤 맛으로 시장에서 저와 만나게 될지 벌써 궁금해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