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요리 역사 이야기(11) 홍콩 광동성의 펀차이 요리(4) ..
펀차이(폰초이 盆菜)는 홍콩이나 광동성에서 볼 수 있는 특별한 전통 요리의 하나입니다
홍콩의 무형 문화재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대야 같은 큰 그릇에 음식들을 하나 씩 하나 씩 쌓아 올려 담은 것이 광동어로 폰초이, 표준어로 펀 차이 입니다
춘절(춘절 구정)이나 집 안 제사 또는 제야(除夜 섣달 그믐 날 저녁)에 식구들이 모이면 차려진 음식상에 놓여집니다
핑샨(平山)은 홍콩과 가까운 거리의 작은 시골 마을 입니다
홍콩,대만, 그리고 이곳 팽샨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한 거리에 있는 재신에게 향을 피우고 부자가 되게 기원하는 한 부부의 모습 입니다
대야처럼 큰 그릇에 닭고기 등이 담겨 지고 있습니다
하나 씩 음식을 담기 시작하여 겹겹이 높이 쌓아서 거의 넘칠 때 까지 담아 올립니다. 분채라는 것 입니다
삶은 닭고기 입니다
토막 내어서 철판 위에서 볶은 돼지고기 입니다
볶음의 버섯 요리도 올라 갑니다
돼지고기를 웍이란 중국의 둥근 후라이 판 위에서 볶아낼 준비를 합니다
다 볶은 돼지고기는 대야에 올리면서 겹겹이 쌓아 놓습니다
대야같은 그릇이 아주 큽니다
분채요리 만들 때는 여인네들이 주방에서 각자가 맡은 요리 만들 준비에 아주 바쁩니다
중국의 오랜 역사를 들여다 보면 전쟁이 없던 시절이 거의 없을 정도 입니다
중국은 분열과 통일의 연속 입니다
한족이든 동이족(東夷族)이든 항상 북방의 기마족들에게 쫓겨서 서쪽으로 남쪽으로 이주를 했습니다
이 패션 디자이너인 윌리엄 탕씨 조상도 천 년 전에 홍콩으로 이주 해 왔다고 말을 합니다
중국의 전통적인 집 안에 만들어 놓은 사당 입구 입니다
불을 이용해서 웍을 사용하던 부뚜막이 꽤나 큰 것을 보면 대가족의 집 안 같습니다
그리고 많은 손님을 집에 초대하여 술과 음식을 대접할 때 마다 이 부엌은 요리하기에 무척 분주했을 것 입니다
중국인들은 응접실 벽에 조상들의 사진들을 걸어 놓습니다
동남아 여러 나라에 나가 있는 화교(華僑)들 또는 화예(華裔)들의 응접실에서도 이런 광경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화교는 우리가 말 하는 교포, 화예는 현지에 오래 살아서 모국어도 잊어 버리고 사는 후손들인 동포로 보면 됩니다
핑샨의 지도 입니다
옹기종기 모여 있는 평화스런 집들이 있는 보기에 좋습니다
이곳은 구룡반도 위쪽에 위치하며, 람추엔의 퐁마포 마을을 핑샨에 온 김에 둘려 봅니다
神體健康(신체건강)이라고 써 놓았습니다
가운데에 사람들의 소원을 잘 들어 준다는 나무가 한 구루 서 있습니다
마치 오렌지가 매달려 있는 것 같습니다
실은 오랜지 모양으로 매달아 놓은 것 입니다
축원을 담아서 글씨를 쓰고 나서 나무에 매달아 놓기도 합니다
또는 쪽지를 돌에 묶어서 나무 위로 던져서 나무 높은 곳에 매달기도 합니다
그런데 돌은 던지다가 자칫 사람이 다치기 쉬워서 이런 오랜지 모양에다 매달아 나무 위로 던져 올리는 것 입니다
중국인들은 사람들이 그냥 돈을 벌도록 공짜로 오랜지를 주지 않고 팔고 있습니다
돈을 주고 건강을 사든지 재물을 사는 것 입니다 ㅋㅋㅋ
홍콩 가정 집에서 제야(除夜 섣달 그뭄날 저녁)를 지내면서 준비한 푼초이(분채) 요리를 전에 올렸지만 저도 기억이 나질 않아서 한 참 찾으러 다녀서 겨울 찾았습니다.
http://blog.daum.net/yoji88/2030 (하이퍼링크 연결이 바로 안되네요)
광동성,심천(26)에 있지만 제대로 바로 나오질 않아서 아예 복사해서 아래에다 붙어 놓았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춘절을 맞아 홍콩 가정 집의 만찬 초대에 참석하면서 그들 풍습과 전통 삶의 일부를 들여다 봅니다
춘절(春節 구정 설)에는 홍콩이든 대만이든 중국인들이 사는 집집마다 출입구나 대문 양 옆에 춘련(春聯)을 써 붙이거나 福 자나 春자를 사다가 붙입니다
춘련에는 만사여의(萬事如意), 위 글과 같은 국태민안(國泰民安) 등을 붙입니다
春자나 福자는 일부러 거꾸로 붙이기도 하는데 이것은 거꾸로란 倒(따오)와 도착한다는 到(따오) 의 발음이 같기 때문에 사람들이 이 집의 복자가 거꾸로 붙었네 하고 말하면 이 말을 듣는 이는 이 집에 복이 들어오네 하고 생각한다는 이아기 입니다. 춘자도 같은 해석하면서 좋아라 합니다
그래도 이 집은 복자를 제대로 바로 붙여 놓았네요
황금의 과실이 주렁주렁 요전수(搖錢樹)에 달리기를 바라면서 복을 누리고자 하는 것은 인지상정 이겠습니다
홍콩은 영어가 중국어와 함께 공용어이기 때문에 아이들은 어려서부터 영어를 자연스레 익힙니다
이 집의 꼬마 딸 아이가 "좋은 아빠" (Good Pa Pa)라고 써서 현관 문에다가 붙여 놓았습니다
팁 : 중국인의 집에 초대를 받아서 방문 할 때 빈 손으로 가면 실례가 되니 선물을 준비해서 가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그리고 선물은 일반적인 것은 두 개 즉 쌍(雙)으로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중국에선 설 전날인 제야(除夜, 제석(除夕 추시)의 만찬을 아주 풍성하게 준비했다가 가족들과 즐깁니다
중국 부인네들은 설 일주일 전부터 미리미리 음식재료들을 하나하나 준비합니다
웃 어른들의 음식 차리는 전통에 대하여 가르침을 받아 미리미리 준비합니다
여러 음식들을 세숫대야 같은 큰 양푼에다가 이것저것 가들 넣고 쪄 먹는 새로운 분채(盆菜)라는 새로운 음식문화가 홍콩에선 큰 유행인가 봅니다
일반 홍콩 가정에서나 통하는 것이지 공식적인 식사대접엔 이런 것 구경하기 어렵습니다
중국인들은 버섯요리를 아주 즐깁니다
양송이에서 자연산 송이까지 집 안 여유가 보여지는 버섯 요리이기도 합니다
대체로 우리나라의 표고버섯 그 중에도 겉에 꽃 무늬가 나오는 화고(花菇 )를 준비 합니다
중국인들도 농경사회에서부터 이어져 오는 대가족 중심의 삶은 지금까지도 3대가 한 집에 사는 삼대동당(三代同堂)의 모습을 이 집 처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식의 요리는 분채(盆菜 펀 차이)라고 했습니다
팟 초이는 광동어 발음이며 파차이가 표준발음 입니다
발채(髮菜) 입니다. 파차이란 발음이 부자되세요의 파차이(發財)와 같기 때문에 대만에서도 춘절이나 사업상의 식사 자리에선 자주 등장하는 것인데, 대만에선 주로 김국이나 매생이국처럼 수프로 만들어 먹습니다
이 발채는 바다가 아닌 계곡물이 흐르는 곳이나 민물 강가에서 채취하고 말려 둡니다
산서성(山西省)에서 많이 생산 됩니다
일반 가정에서는 이 정도 크기의 표교버섯을 준비해도 기분이 좋아지는 요리상 입니다
족발 요리는 지방마다 만드는 스타일이 다양 합니다
하물며 홍콩은 광동 대표요리가 다 모인 곳 아니겠습니까?
버섯 요리 입니다
대가족의 사진 입니다
연근이 들어 간 돼지 족 요리입니다
새우 볶음은 기본이구요
상 다리 부러질 정도로 음식이 가득 합니다
중국인들은 음식을 풍성하게 넉넉하게 만들어 차리는데 이 집에 여유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합니다
이 이야기는 음식 접시 옆에 젓가락 하나씩 따로 놓여 있는 것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원하는 음식을 자기 먹고 있는 젓가락 대신 접시에 놓인 젓가락을 사용하라는 뜻입니다
자기가 먹고 있는 젓가락을 가지고 이 음식 저 음식을 가져가던 식사습관은 SARS 를 통한 위생 의식으로 바로 잡아가고 있음이 보입니다. 큰 음식점에서 요리 접시마다 새 젓가락이 따라 나오는 것은 그 이전에도 식사의 매너로서 보여지던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아직도 한 테블에 식구들 함께 식사 랄 때는 먹던 젓가락과 국 숟가락을 아무데나 마구 찌르지요 ㅠㅠ
노인이 되면 자손들이 번창하기를 기원하는 마음은 우리네와 다 똑 같겠습니다
음식이 너무 많이 남았다구요?
이렇게 음식을 많이 남겨야 손님을 대접하는 주인의 마음은 푸근합니다
여유가 있는 집이니까요 ㅋㅋㅋ
이 만찬에서 빠진 부분이 있는데,
우선 차 대접입니다. 손님이 오면 가장 먼저 내 놓는 것은 차(茶) 입니다
그리고 음식 먹는 도중에 술 마시는 것이 빠졌구요, 마지막에 과일 대접이 빠졌습니다.
그리고 춘절 기간에는 반드시 당과류가 나오고 해바라기 씨와 수박 씨 그리고 볶은 땅콩,견과류 나오는 것이 빠졌습니다.
TV 방영시간에 제한을 받아 편집과정에서 빠졌을태니 보시는 여러분은 이 점 감안해서 보시고,
중국인들과의 초대 식사에 응하시기 바라며, 즐거운 시간 가지시기 바랍니다